[책소개]
김치와 김장문화는 수천 년 간 지속되어 온 한민족 사회만의 독특한 민속현상으로 21세기인 지금도 지속되고 있는 비중 있는 ‘음식문화’입니다. 원료생산에서 김치를 만들어 먹기까지 과정에서 빚어지는 문화 현상, 즉 김장문화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요소들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김치를단순한 하나의 음식이 아닌 멋진 문화로서 스토리텔링 작업을 하여, 그것을 세계인들에게 전달해 가는 것이 김치와 한식을 세계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일 것입니다.
그동안 한국인의 삶과 가장 밀접하게 자리 잡고 있는 김치를 인문학적으로 접근하는 시도는 단편적이고 간헐적으로만 진행되어 왔습니다. 세계김치연구소는 김치에 관한 학문을 기존의 자연과학적 R&D 분야와 인문사회학적 분야를 아우르는 하나의 학문 범주로서 김·치·학Kimchiology을 제안하고 정립해 나가고자 합니다.
본 총서는 김장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축하하고 국민들과 함께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문학적 시각을 넓히고 그 가치를 공유하고자 기획된 것입니다.
[저자소개]
글쓴이 소개(집필순)
김광억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사회인류학 박사
kokim@snu.ac.kr
황경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고려대학교 문화유산학과 박사(수료)
folk95-99@hanmail.net
박채린
세계김치연구소 연구개발본부장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학 문학 박사
cherrypark@wikim.re.kr
조재선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농화학과 농학 박사
jaesjo@khu.ac.kr
아사쿠라 도시오 朝倉敏夫 Asakura Toshio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 교수
일본 메이지대학교 정치경제학 박사
asa@idc.minpaku.ac.jp
자오 롱광 趙榮光 Zhao Rongguang
중국 절강공상대학교 교수
하얼빈 대학교 역사학 전공
zhaorongguang126@126.com
리우 시아오춘 劉曉春 Liu Xiaochun
중국 광저우중산대학교 무형문화재연구소 교수
중국 북경사범대학교 민속학 박사
fudong1985@126.com
강정원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독일 뮨헨대학교 인류학 박사
kangjw@snu.ac.kr
윤덕노
음식문화저술가, 청보리미디어 대표
(前)매일경제 주간국 부국장
ohioyoon97@daum.net
김일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철학 박사
namdukim@hanmail.net
한경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인류학 박사
hanthro@snu.ac.kr
[목차]
발간사
1. 김치와 김장의 인문학 :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 김광억
2. 무형유산으로서 김장문화의 가치와 전승 공동체의 역할 | 황경순
3. 한국 김장문화의 역사, 의미, 전개 양상 | 박채린
4. 김치재료 및 제조기술의 변천사 | 조재선
5. 일본의 쓰케모노와 한국의 김치 | 아사쿠라 도시오
6. 중국 절임채소의 역사와 문화 이미지 묘사 | 자오 룽광
7. 광동지역 객가客家족의 절임채소와 음식문화고찰 | 리우 시아오춘·임사옥
8. 근대화와 김장 문화의 지속 | 강정원
9. 김치 레시피 변화의 경제적 의미 | 윤덕노
10. 조선시대 飮食門 류서류와 음식생태학 | 김일권
11. 김치와 김장의 문화인류학 | 한경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