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냉장고 선택 고민 끝! 소비자평가 1위 상품 AI 추천!

김치종주국 위상 세우는「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마련

◈ 국산김치 경쟁력 제고를 통해 김치종주국으로서의 위상정립

1. 김치 저변확대 및 연관산업 육성
○ 김치연관산업으로서의 절임배추 산업화 및 안전관리 강화
○ 김치소스 및 김치를 활용한 HMR(가정간편식) 산업 육성
○ 유아․청소년 대상 김치 인식제고 교육 및 김치 우수성 홍보 강화

2. 국산김치 품질경쟁력 강화
○ 김치 품질특성 표준화 및 맛(짠맛, 매운맛, 신맛) 표시제 도입
○ 기능성 김치, 특수김치 등 새로운 김치 개발을 통한 신시장 개척
○ 김치업체․유관기관 역량 강화 및 정책협의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3. 김치 수입확대 대응 및 수출 확대
○ 수입김치에 대한 유통단계별 단속 강화
○ 국산김치 원가절감기술 보급 및 수출 현지화 전략 추진
○ 해외에서의 국산김치 도용 방지를 위한 ‘국가명 지리적표시’ 도입 검토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김치산업 육성을 통해 김치종주국 으로서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2018~2022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ㅇ 최근 쌀 소비량 감소로 인해 김치소비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원재료 가격이 싼 중국김치의 수입 증가로 국산김치의 입지가 위축되고 있다.

ㅇ 이러한 위기의식 하에 농식품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진흥 종합계획 수립TF’를 구성해 전문가, 유관기관 및 김치업계 의견수렴을 통해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 금번 종합계획에서는 국산김치의 가격 및 품질경쟁력을 제고하여 중국김치 수입확대에 대응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ㅇ 김치소스 등 김치 연관산업 육성을 통해 김치응용상품시장을 ‘16년 1,800억원에서 ’22년 3,500억원 규모로 확대하고,

ㅇ 국산김치의 품질경쟁력을 제고하여 국산김치 시장점유율을 현행 65%에서 70%까지 높이며, 내수 진작 및 수출확대를 통해 김치무역수지 균형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 종합계획은 추진전략 6개와 24개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추진전략 1 : 김치소재 산업 육성 >

□ 김치 연관산업인 절임배추 산업육성 및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김치소스 및 김치HMR(가정간편식) 산업을 육성한다.

배추 주산지에서의 절임배추 생산․공급을 확대, 김치생산 비용절감 및 물류 효율화를 도모한다.

– 주산지 생산자와 김치생산업체 네트워크 구축, 절임배추 생산시설 및 부산물 자원화 지원을 통해 절임배추 산업을 육성하고,

* 현재 1,800억원 규모의 절임배추 시장규모를 ‘22년까지 2,500억원으로 확대

– 절임배추에 대한 안전성 제고 및 절임배추 생산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해 ‘절임배추 안전관리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ㅇ 김치를 활용한 김치소스 및 김치HMR 산업을 육성한다.

– HMR시장 확대에 대응한 김치HMR제품 및 신매뉴 개발과 현지 식문화와 어울리는 김치소스 개발을 위한 R&D지원을 확대하고,

– 세계김치연구소 및 소스산업화센터 기능을 개편하여 현장컨설팅 및 산업화 지도․지원을 보강할 계획이다.

< 추진전략 2 : 국산김치 경쟁력 제고 >

김치의 맛과 품질을 표준화․등급화하여 표시제를 도입하고, 기능성김치 개발 등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한다.

김치 맛(매운맛, 짠맛, 신맛) 표준지표를 개발하고, 맛 표시제를 도입하여 소비자에게 김치 맛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 나트륨, 캡사이신 함량 및 산도 등에 따라 짠맛, 매운맛, 신맛의 정도를 3~5등급으로 분류하여 표시

ㅇ 중소 김치업체의 품질향상을 위해 우수종균 및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맞춤형 현장기술 지도를 확대한다.

* 세계김치연구소에서 김치 품질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종균(wikim38 등) 개발완료

ㅇ 건강기능식품 및 고령친화식품 시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김치 유산균을 활용한 ‘기능성 김치’ 등 특수(Novel) 김치 및 포장기술 개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김치유산균의 기능성(아토피, 당뇨 예방)을 활용, 기능성인증 및 제품화 지원

< 추진전략 3 : 수입김치 대응 및 수출확대 >

수입김치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수출대상국 맞춤형 상품개발 등을 통해 수출다변화 및 일본 수출집중도를 완화한다.

ㅇ 수입김치 및 김치원료에 대한 원산지 단속 및 관리를 강화한다.

* 관세청 통관자료 등을 활용, 수입김치 및 김치원료 수입․유통단계 추적조사

김치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업소용 맛김치 생산기술 및 생산자동화(‘양념속넣기’ 기계 등) 장비를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ㅇ 영세 김치업체의 거래교섭력 제고 및 규모화를 통한 품질향상 도모를 위해 ‘조합형 협의체’ 등을 통한 공동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 공동사업으로 원료 구매, 표준매뉴얼에 따른 제품생산, 공동마케팅 추진

ㅇ 국산김치 사용업체에 인증마크를 부여하는 ‘국산김치자율표시제’를 확대하고, 해외에서의 한국김치 상표 도용방지 및 국산김치의 품질향상을 위해 ‘국가명 지리적표시’ 도입을 검토한다.

김치 수출국 현지 전통요리와 결합한 김치요리 개발 등 수출국 현지인 맞춤형 제품 및 레시피 개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현지인에 맞춘 덜 맵고 단맛이 있는 제품 및 소포장기술 개발 등 지원

현지요리 퓨전화 사례 - 김치타코

ㅇ K-Food Fair 등 해외 홍보․판촉행사 및 김치수출상담회 개최 등 해외 홍보․판촉행사를 지원하고,
해외 판로개척 및 통관에 필요한 절차 지원 등 해외시장 개척 및 수출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 추진전략 4 : 김치 인식개선 및 우수성 홍보 >

□ 김치 소비촉진 및 김치저변 확대를 위한 인식개선 홍보 및 김치문화행사를 확대한다.

ㅇ 저염김치 개발, 김치 문화컨텐츠 발굴․제작 등 유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김치 인식개선 홍보를 확대하고,

* 전국 53개 김치박물관 및 체험관을 활용, 유아․청소년 김치체험장 및 교육 추진

ㅇ 김치 저변확대 및 김치식문화 개발을 위해 기존의 김치품평회를 확대하고, ‘김치요리경연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 추진전략 5 : 거버넌스 구축 >

□ 김치업계의 적극적인 의견수렴과 현장 눈높이에 맞는 김치정책 추진을 위해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ㅇ 정부, 연구기관, 업계 및 김치협회 등이 참여하는 (가칭)‘김치정책포럼’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 포럼에서는 김치업체 역량강화, 제도개선과제 발굴 및 업계 애로 해소, 협력사업 등을 논의․결정한다.

< 추진전략 6 : 원료의 안정적 공급지원 >

김치원료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채소류 수급안정사업을 확대한다.

ㅇ 올해부터 ‘채소가격안정제’ 대상에 고추를 추가하여 상시비축 및 출하조절물량을 확대하고,

농가와 김치업체간 계약재배 중개를 통해 김치원료의 안정적 공급을 도모할 계획이다.

* 유통공사에서 원료공급자(농가)와 김치업체간 계약 알선․중개

□ 농식품부는 이번에 수립한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이 내실있게 이행되도록 하기 위해 (가칭)“김치정책포럼”을 조기에 구성, 업계 및 유관기관과 종합계획 이행상황을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요약)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 인포그래픽

면책조항: 정보 번역
수정/신청하기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김치박물관
      Logo
      Compare items
      • Cameras (0)
      • Phones (0)
      Comp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