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냉장고 선택 고민 끝! 소비자평가 1위 상품 AI 추천!

김치 HACCP 규정에 대한 대책

김치 HACCP 규정이 김치의 특성에 맞지 않아 자칫 김치산업을 고사시킬 우려가 있다는 김명주 의원 지적에 따라 답변서를 제출한 사항임


≪김치 HACCP 규정에 대한 대책≫

□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제품의 생산·공급을 위해 김치업체도 HACCP 도입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음

○ 그러나 현재 국내의 김치업계는 원료수급 불안, 값싼 중국산 김치수입 확대, 환율인상에 따른 수출 감소 등 아주 어려운 상황임

○ 이러한 상황에서 김치(배추김치)를 HACCP 의무적용 대상에 포함하여 시행하는 것은 업체의 재정적 부담으로 작용하여 국내 김치산업의 위축은 물론 김치제조업 포기사태까지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봄

※ 대부분의 김치제조업체가 HACCP 적용업소로 지정 받기 위해서는 신규시설 또는 대규모의 개·보수에 10억원 이상의 자금소요 예상

○ 따라서 농림부는 김치(배추김치)의 HACCP 도입을 의무적용 대상에 추가 하는 것 보다 인증제 같은 자율적인 제도를 통해 품질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식품위생법시행규칙 개정에 관한 의견 조회 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제출한 바 있음.

□ 또한 농림부에서는 농식품가공시설 현대화를 위해 ‘06년도에 신규로 1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업체가 HACCP 지정에 필요한 자금을 요청 할 경우 업체당 10억원 범위 내에서 융자 지원하고 있음

※ ’06년 9월 현재 김치제조업체 HACCP 적용업소 지정 : 12개소(‘06년 8개소)

면책조항: 정보 번역
수정/신청하기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김치박물관
      Logo
      Compare items
      • Cameras (0)
      • Phones (0)
      Comp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