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으로 받는 우리 종자-생태적 삶을 위한 귀농총서 19

책소개

상업농과 기계농이 일반화되면서 종자를 받는 사람이 거의 사라져 가는 상황에서 자가채종을 하는 비전문가들이나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농부들의 방법을 좀더 체계화한 책이다. 60여 가지 필수 작물들의 유래와 채종법을 자세히 싣고, 종자의 사후관리법까지 상세히 담았다. 우리 땅 우리 토종을 지키는 농부들의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안완식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강원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멕시코 국제맥류옥수수연구소, 일본 농생물자원연구소 및 미국 오리건대학교 연수에서 돌아와 밀 육종과 유전자원 연구를 했다. 여러 차례 식물유전자원 국제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유전자원과 책임연구관으로 있으며, 한국토종연구회 부회장, 한국작물학회 부회장, 한국생물다양성협의회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 「한국의 농업유전자원 연구현황과 발전 방향」(1989, 농진청 심포지엄), 「한국에 있어서 작물재래종의 소멸경향 연구」(1994, 러시아 바비로프식물자원연구소 10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 「지속적 농업을 위한 식물유전자원의 확보」(1995, 한국농업과학협회 심포지엄)가 있다. 저서로는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종자』가 있고 근간으로 『나는 토종이다-토종 도감』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_ 한 뙈기 밭에서도 키울 수 있는 우리 종자

1부 농부들의 자가채종법

1. 어떤 종자가 토종인가?
1) 좋은 종자란?
2) 자가채종을 해야 할 종자
3) 종자 수확의 기본

2. 좋은 토종 채종하기
1) 채종포의 조건과 관리
2) 특성별 채종법
형태적 특성/생리적 특성/유전적인 특성/수명에 따른 채종 방법
3) 좋은 품종 선발법
도입 육종법/분리 육종법/교잡 육종법/잡종강세 육종법/배수성 육종법/돌연변이 육종법

3. 채종 후 종자 관리
종자의 간이 저장 방법

2부 작물별 채종법

식량작물: 벼 / 밀 / 보리 / 호밀 / 귀리 / 수수 / 옥수수 / 조 / 기장 / 메밀
협실류: 콩 / 팥 / 녹두 / 강낭콩 / 동부 / 완두 / 까치콩 / 작두콩
잎채소: 배추 / 갓 / 양배추 / 시금치 / 상추 / 쑥갓 / 아욱 / 근대 / 미나리
열매채소: 호박 / 오이 / 참외 / 수박 / 박 / 동아 / 고추 / 가지 / 토마토
뿌리채소: 무 / 순무 / 우엉 / 당근 / 고추냉이 / 토란 / 연근 / 생강
인경류: 파 / 마늘 / 부추 / 양파 / 쪽파
서류: 감자 / 고구마 / 마
기타 작물: 참깨 / 들깨 / 유채 / 땅콩 / 아주까리

찾아보기
용어풀이

면책조항: 정보 번역
수정/신청하기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김치박물관
      Logo
      Compare items
      • Cameras (0)
      • Phones (0)
      Comp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