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권
목차
2016년 농식품 정책방향
2016년 국내외 경제 이슈 및 한국 경제 전망
1장. 2016년 농업 및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2장. TPP 타결, 국제무역질서가 변화한다
3장. 변화하는 북한경제, 새로운 남북협력과 또 다른 단절의 갈림길
4장. 한·중 FTA, 수출 증대의 기회로
5장. 가정식 대용식품(HMR), 한국 농업의 기회인가!
6장. 사례로 본 농식품 상생협력 패러다임과 발전방향
7장. 농산물 유통 패러다임 변화, ICT로 시작한다
8장. 농업·농촌부문 규제개혁 방향과 과제
9장. 농촌발전, 융복합산업으로 도약하자!
10장. 귀농·귀촌, 무엇을 어려워하는가?
11장. 변화하는 농촌마을, 미래 정주공간을 준비한다
12장. 변화의 시대, 농촌주민의 삶의 질은 안녕한가?
13장. 일자리 없는 농촌, 할 일 많은 농촌
14장. 쌀, 콩 수급 동향과 전망
15장. 국제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16장. 일본의 쌀정책 개혁과 시사점
17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18장.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19장. 주요 단기임산물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장. 엽근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21장. 양념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22장. 채소류 계약재배, 어떻게 활성화하나?
23장. 양돈, 가금 수급 동향과 전망
23장. 한육우, 낙농 수급 동향과 전망
24장. 젊은 축산! 후계자 육성으로
충청권
목차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축산 수급 동향과 전망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호남권
목차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과일·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엽근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양념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축산 수급 동향과 전망
영남권
목차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축산 수급 동향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