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능
- 동맥경화·성인병 예방, 혈압강하, 혈전용해, 항산화, 응고억제작용, 눈보호작용, 혈소판응집억제작용, 간보호. 해독작용, 살균작용, 혈당저하작용, 진정작용, 암억제, 천식억제
- 주산지
- 전남·경남·경북·제주 등
- 주 출하시기
- 5월~8월
■ 식품의 가치 및 효능
▶ 배추의 영양(가식부 100g중)
열량 (Kcal) | 수분 (%) | 단백질 (g) | 지방 (g) | 탄수화물 (mg) | 회분 (IU) | 칼슘 (mg) | 인 (mg) | 철분 (mg) |
---|---|---|---|---|---|---|---|---|
54 | 84.9 | 1.9 | 0.4 | 11.1 | 0.7 | 20 | 61 | 0.2 |
▶ 양파의 효능
양파 겉껍질에 들어있는 켈세진이라는 성분은 혈관의 확장과 수축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양파는 최근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동맥경화 등 각종성인병을 예방치료하는 식품이 될 수 있다.
발암물질인 니트로소아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칼슘과 철분이 풍부한 양파는 강장효과가 뛰어나며 비타민 B1의 흡수를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고 당질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만드는 중요한 영양소로, 야채 샐러드를 만들 때 생양파를 넣거나 양파를 다져 넣은 드레싱을 이용하면 야채의 비타민 B1 흡수를 돕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
피로회복과 스태미너 증진에 좋을 뿐만 아니라 순환기 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양파에는 또한 유화알린이라는 휘발성분이 들어있는데 이 유화알린은 위와 장의 점막을 자극해 소화분비를 촉진시키므로 건위소화제로 이용된다.
또한 색소성분인 퀘르세틴이 들어있어 지방성분의 산패를 막아주고 고혈압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양파는 파와 같이 생선이나 고기의 냄새를 없애주기 때문에 요리에 많이 쓰이며 양파즙은 마늘즙보다 자극성이 적고 냄새도 덜나면서 효과는 마늘즙에 뒤떨어지지 않으며 피로방지와 혈관 강화에 좋은데 특히 항 알레르기 성분을 많이 가지는 특징이 있다.
양파의 최대 유효 성분은 유황화합물이다. 양파에는 이소알린, 시크로알린 등 유황함유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들의 기능은 혈당강하작용이다.
시크로알린은 혈전용해와 응고억제 등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심근경색, 뇌경색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또 양파 특유의 눈물이 나게 하는 성분은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된다.
그 외에 살균, 천식억제, 혈소판응집억제 작용도 한다.
양파의 효능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피를 맑게 해 순환기 계통의 질병을 예방한다는 것인데 양파의 최루성분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면 혈액응고 억제제가 생성된다고 확인한 바 있다. 이는 양파에 들어 있는 페쿠친이라는 물질이 콜레스테롤을 분해시키기 때문이다.
양파에 함유된 글루타티온 유도체라는 성분이 간장의 해독기능을 강화시켜 주독을 풀어주므로 애주가라면 양파소주를 마시거나 음주 전후 양파를 먹는 것도 숙취예방을 위해 좋다.
또한 만병을 만들어 내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작용으로 유명한 후라보노이드(퀘르세틴)도 풍부하고,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저하, 눈보호, 간을 튼튼하게 하고, 간해독 등의 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다.
[better-ads type=’banner’ banner=’4901′ ][better-ads type=’banner’ banner=’4899′ ]
▶ 한의학에서의 효능
한방에서는 양파를 계속 먹으면 대머리를 막을수 있으며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므로 기관지천식, 두드르기, 피부발진 치유효과도 갖고 있다고 한다.
불면증에는 생 양파를 잘라 베개 밑에 두고 자면 신기하게 잠이 잘 온다는 민간요법도 전해진다. 코가 막힐 경우엔 양파를 큼직하게 썰어서 접시에 놓아두면 코가 시원해진다고 한다.
양파는 목의 식도나 폐의 기도에 달라붙은 불필요한 점액들을 몸 밖으로 제거하는 거담작용 효과가 있다고 한다.
허약체질이나 신경쇠약에도 좋아, 원기회복이 필요한 환자의 식이로 적당하다고 한다.
■ 우리나라의 양파 재배내력
원산지는 아직 야생종이 발견되지 않아 확실하지는 않다.
재배역사는 아주 오래 되어 4000년을 넘고, 고대 이집트시대로부터 그리스, 로마시대에 이르는 동안 품종이 분화되었다고 한다.
그 후 남부유럽에서 많이 재배하였으며, 소위 단양파(mild onion)로 발달하여 점차 유럽전체로 퍼졌으나, 중동유럽에서는 매운양파(strong onion)로 분화되었다.
미국에서는 처음에 매운양파가 도입되어 그 후 많은 품종이 육성되었다.
근년에 단일 하에서 양파가 비대하는 품종도 육성되어 재배가 안되던 저위도지대의 나라에서도 재배가 가능하여 급속히 생산이 늘어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말기에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짐작되며, 독자적 육종으로 신품종이 육성되어 재배면적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