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능
- 노폐물제거, 미백효과, 피부미용효과, 변비해소, 이뇨작용, 감기예방, 소역작용, 숙취제거
- 주산지
- 노지재배는 경기·충북, 시설재배는 경남·전남 등
- 주 출하시기
- 노지재배는 7월~10월, 시설재배는 연중출하
■ 식품의 가치 및 효능
▶ 오이의 영양(가식부 100g중)
구분 | 열량 (Kcal) | 단백질 (g) | 지질 (g) | 칼슘 (mg) | 철 (mg) | 비타민A (IU) | 비타민B1 (mg) | 비타민B2 (mg) | 나이아신 (mg) | 비타민C (mg) |
---|---|---|---|---|---|---|---|---|---|---|
오이(생것) | 12 | 0.9 | 0.1 | 24 | 0.2 | 21 | 0.05 | 0.04 | 0.2 | 11 |
늙은오이(노각) | 4 | 0.4 | 0.1 | 10 | 0.2 | – | 0.02 | 0.01 | 0.2 | 8 |
오이지 | 8 | 0.8 | 0.2 | 33 | 0.4 | 17 | 0.03 | 0.01 | 0.1 | 4 |
오이피클 | 103 | 0.4 | 0.3 | 18 | 0.3 | 9 | 0.01 | 0.01 | 0.1 | – |
▶ 오이의 효능
오이의 식품가치는 여름동안 수분공급과 씹는 감촉, 독특한 향기와 비타민 공급, 그리고 알칼리성 식품이라는 데 있다.
또한 오이는 칼륨의 함량이 높아 체내에 쌓인 나트륨과 함께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여 몸이 한결 개운해지고 맑게 한다. 특히 나트륨은 소금의 성분으로, 짜게 먹는 사람에게는 오이가 더 없이 좋은 식품이라고 한다.
칼륨이 체내의 노폐물을 배설하면서 수분이 함께 빠져나가기 때문에 부종을 낫게 하는 효과가 있다.
오이에 함유되어 있는 섬유질은 대장을 활성화시켜 체내 노폐물을 가속화시키므로 변비에 좋은 식품이다.
오이는 이뇨 작용 효과가 있어, 술 마신 뒤 오이를 먹으면 소변과 함께 알콜 성분이 빠져나가 숙취가 풀린다.
오이는 피부미용을 위한 천연재료로서 화장수, 비누, 로션 등 오이를 이용한 다양한 미용제품이 나와 있는데 이는 오이에 포함된 무기질, 칼륨이 체내에 들어가서 나트륨염을 많이 배설시켜 노폐물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오이줄기를 잘라서 나오는 물 또한 피부를 곱게 해준다.
오이 한 개에는 10㎎정도의 비타민 C가 들어있는데 이는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며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하고 미백효과가 있으며 감기예방의 효과도 크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비타민 C는 산화효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오이를 다른 채소와 섞어 주스를 만들어 먹지 않도록 해야한다.
오이에는 비타민C(Ascorbic acid)를 파괴하는 아스코르비나아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으므로 식초나 식염으로 조리하는 것이 좋다.
오이의 쓴맛성분 대부분은 쿠쿠르비타신C(Cucurbitacin C : C22H56O)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이의 과즙, 잎, 덩굴, 종자 등은 이뇨, 소염, 숙취제거 등에 쓰여져 왔다.
[better-ads type=’banner’ banner=’4901′ ][better-ads type=’banner’ banner=’4899′ ]
▶ 한의학에서의 효능
오이는 혈압을 맑게 하고 갈증을 풀어주며 발열, 오한, 땀띠, 화상, 타박상 등의 치료에 좋다고 한다.
「동의보감」에는 오이가 이뇨효과가 있고 장과 위를 이롭게 하고 소갈을 그치게 하며 부종이 있을 때 오이덩굴을 달여 먹으면 잘 낫는다고 한다.
그 외 한방에서는 오이가 성질이 차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너무 많이 먹으면 한열을 일으키기 쉽다고 한다. 따라서 위장이 차고 약한 사람이 오이를 너무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하거나 한기가 들 수 있고, 곤약과 함께 먹으면 복통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 우리나라의 오이 재배내력
오이의 원산지는 인도 서북부 히말리아 산록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에 오이(黃瓜)와 참외(胡瓜)의 재배에 관한 기록이 있고 해동역사(海東繹史)의 기록 등으로 보아 우리 나라에 오이가 도입된 시기는 1,500년 전으로 추정된다.
우리 나라 재배오이는 전국의 각지방에서 물외로 불려 왔는데, 물외와 참외와는 옛부터 구별되어 왔으며, 과실이 가늘고 길고 농록색이며 백가시인 북중국형과 과실이 굵고 짧은 편이며 흑가시인 남중국형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