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농업기술원, ‘김치유산균 분말 균주’ 개발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김치유산균 분말 균주' 개발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은 자체 분리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김치 유산균을 간편하게 배양하는 방법과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쉽도록 장기 보존 방법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도농기원이 보유한 김치 유산균은 잘 익은 김치에서 유용 유산균5종을 선발하여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이 균주는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시판 균주보다 25% 이상 뛰어나고 식중독을 유발하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녹농균 등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도 우수하다.

김치 유산균을 이용하여 천마 발효분말, 블루베리·머루 발효음료, 치즈 등 다양한 가공품을 개발하고 가공업체에 기술이전을 했으나 균주 배양의 번거로움과 오염 문제 등으로 산업체에서 적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도농기원은 김치 유산균을 고농축으로 쉽게 배양하고 장기간 보존 할 수 있는 분말 균주(앰플)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김치 유산균 분말 균주는 1g당 유산균이 고농도(1030CFU/g)로 존재하여 우리 몸의 위액과 비슷한 산도인 pH 2.5에서도 95%이상 생존하여 생균제(살아있는 유산균)로써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가공품에 적용할 때 배양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분말 균주만 넣으면 발효가 시작되도록 단계를 단축했다. 발효 효율성도 기존 액체배양액 대비 1.4배 우수한 특징을 보여 지금까지 균주를 사용할 때 문제되었던 오염문제와 배양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농기원 담당자는“개발된 분말 균주를 보다 쉽게 가공업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대량 분말 시제품을 생산하여 김치 유산균의 생존력과 가공품 적용시험을 거쳐 상품화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면책조항: 정보 번역
수정/신청하기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김치박물관
      Logo
      Compare items
      • Cameras (0)
      • Phones (0)
      Comp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