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젓갈은 어떤 음식인가]
어패류의 내장 등에 소금을 가하여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면서 그 자체의 효소와 육질을 외부 미생물의 효소작용으로 분해시킨 독특한 맛을 풍기는 발효식품이 바로 젓갈이다. 세상에서 가장 원초적인 맛을 일으키는 소금이 고전적이면서도 대표적인 맛이고, 소스들, 즉 양념이 근대의 맛이다.
그리고, 현대의 맛은 바로 발효 맛이다. 서양 사람에게는 새로운 것이지만, 우리에게는 오래 전부터 익숙해져 있는 것이다. 그 전의 맛은 첨가로 인해 나오는 것이지만, 현대의 맛이야말로 그 자체에서 우러나오는 맛이다. 중국, 말레이반도, 인도네시아, 일본 등 수많은 젓갈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젓갈이 국제적 입맛에 가장 잘 맞는다고 평가됐다. 작은 새우의 미세한 알만을 따내 젓갈을 담글 정도로 우리나라는 발효식품의 최선진국이었다. 서양사람의 혀에는 발효 미각이 전혀 없지만, 한국사람에게는 매우 발달돼 있다는 것도 발효 문명국으로써의 생리적 입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세계 영양 학자들은 한국의 수산 발효식품인 각종 젓갈에 함유된 소금의 분량을 20%에서 8%정도로 낮출 수 있다면 국제적으로 뛰어난 식품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을 것이라 했다. 앞으로 발효식품 젓갈이 국제사회에서 크게 부각되리라 예상한다.
[젓갈의 역사]
문헌상 나타난 최고의 기록으로 기원전 3-5세기경 쓰여진 중국의 고사전인 “이아(爾雅)”라는 책에 생선으로 만든 젓갈이라는 뜻으로 “지(漬)”자의 기록이 있고, 좀 더 구체적인 기록으로는 중국의 농업 종합서인 제민요술(530-550년)안에 젓갈의 종류, 제조방법, 계절에 따른 숙성방법 등 그 시대 젓갈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나와 있다. 예를 들면, <조기, 청상아리, 숭어 등의 창자, 위, 알주머니를 깨끗이 씻어 조금 짭짤할 정도로 소금을 뿌려 항아리에 넣고, 밀봉한 후 햇볕이 쬐는 곳에 둔다. 여름은 20일, 가을은 50일, 겨울은 100일이 지나야 잘 익는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오늘날의 창난젓과 같은, 그 당시 젓갈 제조 방법이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가 있다. 우리나라의 최고 기록으로는 삼국사기 기록으로 신라 신문왕 3년에 왕은 왕비를 맞이하는 음식으로 오늘날의 젓갈을 의미하는 “해”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better-ads type=’banner’ banner=’4901′ ]<고려시대>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에는 정확한 기록이 아직까지는 없어 젓갈의 보편적인 위치는 모르나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젓갈은 매우 보편적인 음식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 도경은 <신분의 귀천을 가리지 않고 상용하던 음식이 젓갈이다.> 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의미는 젓갈이 국가의 의례, 궁중음식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의 상용, 의례음식으로 널리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젓갈의 원 재료도 해수어, 담수어 등의 패류는 물론이거니와 새우, 게 등 갑각류도 매우 다양했고, 지금까지 전해지지는 않지만 조(鳥)류 등을 이용한 것으로도 나와 있다. 고려시대의 젓갈은 크게 두 분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젓갈류와 식해류로써 향약구급방(1236-1251)에 자세한 방법을 전하고 있다. 또, 제조방법에 따라 지염해와 어장육해로 나누어지는데, 지염해는 오늘날의 젓갈과 동일하며 식해류와 같이 우리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비해 어장육해는 술을 담글 때의 발효과정을 젓갈 담그는 데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젓갈의 중흥기였던 조선시대에는 각종 문헌에 나타난 종류가 150종에 달했고, 명나라 조공 무역품으로 사용되었던 밴댕이젓, 석수어(조기)젓, 생합(대합)젓, 잉어젓, 석화(어리굴)젓, 홍합젓, 토하젓, 가자미젓 등은 중요한 수출품이었다. 그 종류와 제조 방법들을 사시찬요초, 산림장법, 세종실록, 도문대작, 쇄미록, 오주연문장전산고, 오례찬실도, 미암일기, 규합총서, 입원십육지, 증보산림경제지 등 조선시대 관선과 민간의 주요 문헌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현대 생활속의 젓갈]
오늘날의 젓갈은 옛 조상들과의 젓갈과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의문을 가진다. 아마도 고춧가루의 사용이 가장 클 수 있을 것이고, 그 다음으로 젓갈의 종류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고춧가루의 사용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 고춧가루가 들어온 시기는 임진왜란(1592.4.24) 이후로 알려져 있다.
그 이전의 젓갈에서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와 현재의 젓갈의 차이는 역시 고춧가루를 포함한 여러 양념들의 첨가 유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젓갈 종류의 변화는 상품가치 때문이라 생각된다. 조선시대의 젓갈은 140~150종에 이른다.
제조 방법은 단순하지만 다양한 원료가 사용되어었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상품가치가 있는 종류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살아남지 못했다. 예를 들면, 어장육해와 같은 발효방법(술을 담글 때의 발효방법)은 지금에 와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better-ads type=’banner’ banner=’2399′ ][better-ads type=’banner’ banner=’4899′ ]■ 젓갈·식해·액젓의 종류
구분 | 원료 | 종류 |
---|---|---|
젓갈류 | 어류 | 가자미젓, 강달이젓, 고노리젓, 고등어젓, 갈치젓, 까나리젓, 꽁치젓, 능성어젓, 눈치젓, 대구젓, 도루묵젓, 도미젓, 돌치젓, 동태젓, 등피리젓, 디포리젓, 매가리젓, 멸치젓, 모챙이젓, 민어젓, 반지젓, 뱅어젓, 밴댕이젓, 송애젓, 뱀장어젓, 웅어젓, 리젓, 전어젓, 정어리젓, 준치젓, 황숭어젓 등 |
갑각류 | 갈게젓, 겟가제젓, 게장, 게젓, 고개미젓, 곤쟁이젓, 꽃게젓, 농발게젓, 능갱이젓, 대하젓, 돌게젓, 바다게젓, 박하지젓, 방게젓, 백하젓, 벌떡게젓, 부새우젓, 새우젓, 새우맛젓, 새우액젓, 새하젓, 썰게젓, 오젓, 육젓, 자젓, 중하젓, 참게젓, 청게젓, 털게젓, 토하젓, 피앵이젓, 화란게젓, 황발이젓 등 | |
연체류 | 꼴뚜기젓, 굴젓, 낙지젓, 대합젓, 동죽젓, 맛젓, 모시조개젓, 바지락젓, 백합젓, 소라젓, 오분자기젓, 오징어젓, 어리굴젓, 조개젓, 한치젓 등 | |
어패류의 내장/아가미 |
갈치속젓, 게웃젓, 고등어내장젓, 대구아가미젓, 민어아가미젓, 명태아가미젓, 뱀장어 창젓, 전어밤젓, 조기속젓, 조기아가미젓, 창난젓, 해삼창자젓 등 | |
어패류의 생식소 |
게알젓, 고등어알젓, 대구알젓, 대구이리젓, 명란젓, 복어알젓, 새우알젓, 성게알젓, 숭어알젓, 연어알젓, 장대알젓, 조기알젓, 화란젓 등 | |
식해류 | 어류 | 가자미식해, 갈치식해, 광어식해, 노가리식해, 대구식해, 도다리식해, 도루묵식해, 멸치식해, 명태식해, 뱅어식해, 우럭식해, 전어식해, 전갱이식해, 조기식해, 쥐치식해, 홀때기식해, 횟대식해 등 |
연체류 | 고동식해, 낙지식해, 대합식해, 마른 오징어식해, 문어식해, 오징어식해, 한치식해 등 | |
어란 및 아가미 | 명태아가미식해, 명태창자식해, 명란식해 등 | |
액젓류 |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정어리액젓, 참치액젓 등 |
[better-ads type=’banner’ banner=’4902′ ]■ 지역별 젓갈·식해의 종류
지역 | 젓갈의 종류 | 식해의 종류 |
---|---|---|
서울/경기도 | 비웃젓(청어), 조기젓, 오징어젓, 새우젓 | |
충청도 | 어리굴젓, 굴젓, 꼴두기젓, 해피젓(바지락조개), 새우젓, 소라젓, 밴댕이젓, 곤쟁이젓, 꽃게젓, 박하젓, 싸시랭이젓(꽃게의 새끼), 낙지젓, 민어아가미젓, 까나리젓, 홍합젓, 멸치젓, 조기젓 | |
강원도 | 서거리젓(북어아가미), 명란젓, 창난젓, 조개젓, 방게젓, 오징어젓 | 명태포식해, 북어밥식해, 도루묵식해, 명란식해, 멸치식해 |
경상도 | 멸치젓, 꽁치젓, 성게젓, 대구포젓(대구아가미), 대구알젓, 호리가젓(꼴뚜기), 조기젓, 뱅어젓, 굴젓, 해삼창자젓, 갈치속젓(갈치내장), 전복젓 | 가자미식해, 밀양식해(북어,마른오징어) |
전라도 | 굴젓, 고흥석화젓, 돔배젓(전어내장), 대합젓, 고록젓(꼴뚜기), 황석어젓, 갈치속젓, 전복창자젓, 벌떡게게장, 콩게젓, 뱅어젓, 조기젓, 고노리젓, 백하젓, 민새우젓, 밴댕이젓 | |
제주도 | 자리젓, 고등어젓, 깅이젓, 멸치젓, 게웃젓(곤쟁이) | |
황해도 | 까나리젓, 참게젓 | 연안식해 |
평안도 | 게알젓, 대하알젓, 조개젓(대합), 건댕이젓(곤쟁이) | |
함경도 | 연어알젓, 대구젓, 창난젓, 명란젓 | 가자미식해, 동태식해, 도루묵식해 |
[better-ads type=’banner’ banner=’4903′ ]■ 계절별·월별 젓갈의 종류
계절 | 월별 | 젓갈의 종류 |
---|---|---|
봄 | 3월 | 꼴뚜기젓 |
4월 | 꼴뚜기젓, 조개젓, 조기젓, 황석어젓, 대합젓, 홍합젓 | |
5월 | 조기젓, 멸치젓, 준치젓, 소라젓, 정어리젓, 뱅어젓 | |
여름 | 6월 | 갈치젓, 오징어젓, 새우젓 |
7월 | 오징어젓, 곤쟁이젓 | |
8월 | 오징어젓, 대합젓 | |
가을 | 9월 | 실치젓 |
10월 | 토하젓, 명란젓, 창젓 | |
11월 | 전복젓, 명란젓, 어리굴젓 | |
겨울 | 12월 | 굴젓, 뱅어젓 |
1월 | 명란젓, 창난젓, 어리굴젓, 뱅어젓 | |
2월 | 어리굴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