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김치연구센터 소개
조선대 김치연구센터는 2003년 4월 과학기술부 지정 전통기술 첨단화 연구실(국가지정 연구실)으로 선정되어, “미생물 대사·제어 시스템에 의한 전통 농·수산 식품의 첨단 과학화”과제를 수행하면서, 유전공학, 미생물공학, 단백질공학, 대사공학 등의 복합 BT기술을 전통발효식품에 도입시키므로, 고부가가치 식품산업 창출의 핵심기술을 보유하였다.
이후 2004년 지식경제부 지원 지역혁신특성화사업(과제명: 광주·전남 김치사업육성사업)을 수행하여, 김치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개발, 인력양성, 네트워킹, 기업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2007년부터 지식경제부 지원 지방기술혁신사업(과제명: 전통발효식품 연구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전통발효식품 연구개발을 통해 김치 및 장류 등의 전통발효식품 관련 핵심기술 및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 관련 연구 및 2010년부터 농림수산식품부 지원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김치 발효조절 및 품질균일화를 위한 미생물 천이 조절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2013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 지원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과제명: 비가열 식품의 식중독 제어를 위한 미생물 유래 천연항균제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항식중독 미생물 활성이 우수한 GRAS 미생물을 개발하고, 이를 비가열 식품, 신선식품, 반조리 및 최소가공식품에서 문제되는 식중독 제어 기술 및 천연항균소재의 산업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사업내용
김치의 산업화 / 과학화를 위한 핵심기반
1. 김치 우량 미생물 개발 및 기능성 연구
-김치로부터 EPS생성능의 유산균 개발
-김치로부터 항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기능성 유산균 개발
-개발된 기능성 유산균으로부터 기능성 물질의 특성 규명
2. 기능성 유산균의 안전성 규명 밑 발효시스템 정립
-전임상(동물실험)에 의한 안전성 확보
-김치 유산균용 배지조성 결정 밑 발효 시스템 정립
-김치 유산균의안정화
3. 우량 종균 대량 배양 조건 최적화
-배양 최적화 기법 개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운전 방법 개발
4. 기능성 유산균 함유 김치제조 기술개발 및 시작품 생산
-EPS 생성능의 유산균 김치제조 기술개발 및 제품화
-항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기능성 유산균 김치제조 기술개발 및 제품화
-산업적 측면엥서의 대량 기능성 유산균 김치제조
5. 식품 신소재 개발 연구
기술개발결과의 생산체계 연계(R&DB)전략
1. 우수연구 결과의 기술 이전 및 산업화 사업
2. 연구센터, 생산현장, 물류유통, 디자인, 마케팅 분야와의 네트워크 구축사업
3. 세미나 및 국내 / 국제학술대회 개최 및 지원
4. 지방자치 단체 지원사업 참여
5. 학,연,관,산 협력사업의 기획 및 추진
6. 인력양성을 위한 산업체 인력 재교육 및 인턴 사원제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