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산지
- 경기·전남·경남 등
- 주 출하시기
- 4월, 7월, 9월, 11월

■ 좋은 상추의 조건
– 부드럽고 깨끗하고 싱싱해 보이며 잎의 크기가 고른 것
– 품종 고유의 색깔과 모양을 나타내고 있는 것
– 잎이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중간형인 것
– 병·충의 피해가 없는 것
– 줄기부분을 잘랐을 때 우유빛과 같은 흰 액체가 나오는 것
– 결구상추(양상추)는 줄기가 짧고 뿌리를 깨끗이잘랐으며 잎의 수도 많고 주름이 고르게 잡혀있으며 두꺼워 보이는 것
– 흙 등 이물질이 묻어있지 않은 것
■ 좋지 않은 상추
– 선선도가 떨어지고 깨끗하지 못하며 잎의 크기가 고르지 않은 것
– 잎이 얇고 연약해 보이며 누렇게 뜬 잎이 섞여있는 것
– 병·충(무름·노균·균핵·갈반병·청벌레등) 피해품이 섞여있는 것
– 뿌리가 붙어 있거나 흙 등의 이물이 묻어 있는 것
▶ 상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통용어와 뜻
종류와 품종의 통용 | 뜻 |
---|---|
찹찹이 | 뿌리를 제거하고 잎만 거래되는 상추 |
폭상추 | 뿌리만 제거하고 포기로 거래되는 상추 |
옆상추=조선상추 | 잎의 폭이 좁고 긴 노지재배 상추 |
양상추=결구상추 | 포기채로 거래되는 상추 |
적상추(꽃상추 | 적축면 상추 |
치마상추=갓상추 | 약간 갈색을 띄는 것으로서 꽃상추와 잎상추의 중간형 (잎 끝부분의 굴곡이 매우 심한 상추) |
꽃상추 | 재래종 상추 |
대공상추(포탄형결구상추) | 잎이 주걱모양으로 폭이 좁고 포탄처럼 길게 통이 생긴 상추 |
출처: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 본 자료의 모든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저작물을 무단으로 게시하거나 판매, 대여 또는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시는 손해배상의 책임과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김치박물관은 전혀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