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김치· 당근의 생산· 유통· 수출 현황과 전망

[목차]

1. 서론

2. 중국의 채소생산 동향

3. 산동성의 배추·당근 생산 동향

4. 중국의 김치·당근 생산 동향

5. 중국의 김치·당근 유통 및 가공실태

6. 중국의 김치·당근 수출 실태

7. 중국채소 수출 전망과 시사점


[요약문]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로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으로부터 김치, 당근 등 채소류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 증가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배추와 당근 수급분석을 위해서는 국내 생산량 뿐 만 아니라, 계절별 수입량이 고려되어야 하고, 배추와 당근의 장기전망을 위해서는 주 수출국인 중국의 생산, 유통 수출량 정보가 필요하다. 2001년까지는 김치수입이 거의 없었으나, 최근에는 중국으로부터 김치 수입이 급증하고 있어 국내 배추수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입된 김치를 배추로 환산할 경우, 국내 배추공급량의 9%가 중국산이고, 당근의 경우 국내 유통물량의 37%가 중국산이다. 두 작물 모두 계절별로 공급량 비중이 상당히 차이가 있다.

따라서 배추와 당근 수급분석을 위해서 국내 생산량 뿐 만 아니라, 계절별 수입량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 보고서에서 장기전망을 위해서는 주 수출국의 생산, 유통, 수출량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였다.

면책조항: 정보 번역
수정/신청하기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김치박물관
      Logo
      Compare items
      • Cameras (0)
      • Phones (0)
      Comp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