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냉장고 선택 고민 끝! 소비자평가 1위 상품 AI 추천!

포장 배추김치 나트륨 함량 제품별 차이 커

1~2인 가구와 김치를 사먹는 가구가 증가하면서 포장 김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국민 다소비식품인 김치는 소금 다음으로 높은 나트륨 급원 식품이지만 나트륨, 열량 등 영양표시를 해야 하는 대상 품목이 아니어서 제품별 영양성분 함량을 알기 어렵다.

이에, 소비자시민모임(회장 김자혜)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구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중에 판매하는 포장 배추김치 15종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표시사항 및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했다.

■ 포장 배추김치 100g당 평균 나트륨 함량 1일 영양성분기준치 28.5% 수준, 제품별 최대 1.5배 차이

ㅇ 포장 배추김치 15개 제품의 100g당 평균 나트륨 함량은 569.58mg으로 1일 영양성분기준치(2,000mg)의 28.5%를 차지했다.

ㅇ 제품별 100g당 나트륨 함량은 ‘비비고 포기 배추김치’(467.33mg)가 가장 낮았고, ‘아워홈 아삭김치 포기김치’(691.95mg)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제품 간 최대 1.5배 차이가 있었다.

ㅇ 나트륨 함량이 높은 6개 제품의 100g당 나트륨 함량은 1일 영양성분기준치의 31.2~34.6%를 차지해 하루 2끼 김치 섭취만으로 하루 영양성분기준치의 30% 이상의 나트륨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배추김치 1회 제공량 50g(식품의약품안전처 외식영양성분자료집)을 하루 2끼 섭취함을 가정해 100g당 기준으로 비교

포장 배추(포기)김치 제품별 나트륨 함량

■ 동일 브랜드 제품이라도 제조일자에 따라 나트륨 함량 최대 45.6% 차이나

ㅇ 이번 포장 배추김치의 제품별 나트륨 함량은 제조일자가 다른 3개 시료의 나트륨 함량을 측정한 평균값으로, 동일 브랜드라도 제조일별 나트륨 함량이 최대 45.6% 차이가 나 제조업체는 김치의 품질 균일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 ‘특제육수 조선호텔 포기김치’ 100g당 나트륨 함량 379.77~552.98mg으로 45.6% 차이

동일 브랜드 제품이라도 제조일에 따라 나트륨 함량 차이가 30% 이상인 제품

■ 영양표시 제품 2개 제품 뿐, 영양표시 확대 필요

ㅇ 15개 조사 제품 중 ‘한울포기김치’와 ‘풀무원 찬마루 서울반가 포기김치’ 2개 제품만이 영양표시가 있었고, 13개 제품은 없었다.

ㅇ 김치류는 영양표시 대상 품목이 아니어서 업체들이 자율로 표시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생활과 알권리 확보를 위해 김치류를 영양성분 의무 표시 대상으로 확대해 영양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소비자시민모임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김치류를 영양표시 대상으로 지정할 것을 요청했다.

■ 포장 배추김치 15개 제품 모두 주요 원재료 국산, 제품별 가격은 1.8배 차이

ㅇ 15개 제품 모두 배합비율이 높은 2순위까지의 원재료와 고춧가루의 원산지는 국산으로 표시되었고, 가격은 100g당 413.7~745원으로 최대 1.8배 차이가 있었다.

■ 식중독균, 중금속은 모두 기준에 적합

ㅇ 식중독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모두 기준에 적합했고,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ㅇ 중금속 검사결과, 납과 카드뮴 모두 기준에 적합했다.

[개선 사항]

■ 김치류 영양표시 대상으로 확대 필요

ㅇ 김치는 우리 국민의 나트륨 주요 급원 식품이지만 영양표시 대상품목이 아니어서 나트륨 등 영양성분 함량 확인 및 비교에 어려움이 있다.

ㅇ 따라서, 김치류를 영양표시 대상으로 확대해야 하며 소비자자시민모임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김치류를 영양표시 대상으로 지정할 것을 요청했다.

■ 포장 김치의 품질 균일성을 높이는 노력 필요

ㅇ 이번 조사결과 동일 브랜드 제품이라도 제조일자별로 나트륨 함량의 차이가 컸다.

ㅇ 소비자는 같은 제품이라면 언제 구입하더라도 영양성분이나 품질이 동일하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제조업체는 우리나라 대표 전통식품으로 김치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품질 균일화의 노력이 필요하다.

■ 김치는 제조 후 시간이 지날수록 숙성되기 때문에 소비자 기호에 맞는 맛의 김치를 먹기 위해 표기된 제조일 또는 유통기한이나 품질유지기한을 확인한다.
※ ‘유통기한’이라 함은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이고 ‘품질유지기한’이라 함은 식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존방법이나 기준에 따라 보관할 경우 해당식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기한을 말한다.

면책조항: 정보 번역
수정/신청하기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김치박물관
      Logo
      Compare items
      • Cameras (0)
      • Phones (0)
      Comp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