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도 김치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경기불황과 김치 원·부재료의 가격 하락으로 김치를 직접 담그려는 소비층의 확산에 있음
○ 종합 발효식품으로서 김치는 원·부재료의 생산 및 가격 변동요인에 의해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구조
○ 2013년 김치 원·부재료의 가격은 ①재배 면적 증가, ②양호한 작황, ③출하량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가격하락 추세
배추 상품 소매가격 기준, 2013년 10월 가격은 포기당 2,781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4.1%, 무 상품 소매가격 가격은 개당 1,736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0% 하락
건고추 화건 상품 소매가격 기준, 2013년 10월 가격은 600g당 10,257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7%, 마늘(깐마늘)은 소매가격 상품 기준, kg당 6,804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8.0% 하락
□ 2013년 기준, 전체 김치 시장 규모는 2조 5천 268억원으로 2012년 2조 4천 254억원 대비 4.2%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가정생산 김치 시장 규모는 1조 2천 840억원(50.8%), 상품 김치 시장 규모는 1조 2천 428억원(49.2%)으로 전망
□ 2013년 기준, 상품김치 시장에서 업소용 상품 김치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75.9%, 가정용 상품 김치시장 비중은 24.1%로 추산됨
○ 업소용 상품 김치시장은 9천 435억원, 가정용 상품김치 시장은 2천 993억원 수준으로 예상
□ 2013년 가정 소비자들의 김장 계획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11월 1일부터 11월 8일까지 7일간 수도권 지역의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준비된 조사표를 바탕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함
○ 응답자의 올해 김장계획은 ① 집에서 직접 담근다는 응답이 41.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② 주변 가족들로부터 가져온다(25.3%) 순으로 나타나 김장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판단됨
○ 2013년도 김장 계획을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집에서 직접 담근다’는 비율이 5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83.0%, 40대 연령층에서는 36.9%, 30대 연령층에서는 20.7%로 나타났음
□ 4인 가족 기준 가구당 김장 소요 금액으로는 가구당 평균 약 179천원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2012년도 259천원보다 30.9%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재료별 예상 금액을 살펴보면, 배추, 무 등과 같은 주재료비로 약 101천원, 고춧가루, 소금 등과 같은 부재료비로 약 78천원을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전국 14개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한 2013년 김장 소요 금액 조사에서는 평균 174천원으로 조사되었으며, 전국 대형유통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217천원으로 조사됨
○ 2012년도 조사에 비해 배추, 무 등 주재료비는 31.5%가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재료비는 29.6%가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음
□ 이상의 김치 산업 동향 및 소비자의 김장 계획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외식문화 및 식품소비 트렌드 등의 변화로 인하여 매년 업소용 상품 김치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
○ 인구구조의 변화 및 식품소비 트렌드 등의 변화로 인한 외식문화 확대와 학교급식의 의무화 등으로 업소용 김치제품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 예상
○ 김치산업의 성장세에 발 맞춰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업계의 노력과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
□ 따라서 경쟁이 심화된 상품 김치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지향의 마케팅전략 및 제품별 포지셔닝전략의 수립이 필요
○ 이를 위해서는 김치 원재료의 수급불안 해소를 통한 안정적 공급 및 가격 안정화 방안 마련이 필요
○ 다양한 제품 개발 및 위생관리 시스템의 구축으로 소비자 신뢰확보 필요
□ 또한 절임배추 시장 등과 같이 김장 수요에서 새로운 소비패턴으로 자리 잡고 있는 부분 가공 상품 개발도 적극 고려할 필요
○ 아파트에 거주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배추를 씻거나 절이는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의 한계성으로 김치를 담그기 위한 환경적 어려움이 상존
아파트 배란다를 거실로 확장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쓰레기 종량제 등으로 김치를 담그기 위해서는 불편
소비자의 간편성 추구 패턴도 절임배추 시장의 성장을 유도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