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산물 제도&마크
농수산물 제도&마크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제도
■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제도 개요
해썹(HACCP)은 위해요소분석(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의 영문 약자로서 해썹 또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이라 한다.
위해요소 분석이란 “어떤 위해를 미리 예측하여 그 위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요관리점이란 “반드시…
더 보기 ...
더 보기 ...
가공식품산업표준KS인증
■ 개요
○ 제도소개
• 가공식품 표준화(KS)란 합리적인 식품 및 관련 서비스의 표준을 제정ㆍ 보급함으로써 가공식품의 품질고도화 및 관련 서비스의 향상, 생산기술 혁신을 기하여 거래의 단순ㆍ 공정화 및 소비의 합리화를 통하여 식품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국민 경제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하는 제도입니다.
절차 및 기준
○ 가공식품…
더 보기 ...
더 보기 ...
GAP 인증(농산물우수관리인증제도)
■ GAP 개요
○ 도입목적
• 생산단계에서 판매단계까지의 농산식품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
• 농산물의 안전성확보를 통한 국내 소비자 신뢰제고 및 국제시장에서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 강화
• 저투입 지속가능한 농업을 통한 농업환경 보호
○ 도입배경
• 일부 채소ㆍ과일에서…
더 보기 ...
더 보기 ...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표시제도(GMO)
■ GMO(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표시제도)
◆ 개념과 정의
ㆍ유전자변형농산물(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이란?
(1) 유전자를 인공적으로 분리·결합하여 자연교잡에서는 육성되지 않는 의도한 특성 (제초제저항, 내병·내충, 품질의 특성화 등)을 갖도록 한 농산물
(2) GMO는 재배상의 유익성과 잠재적…
더 보기 ...
더 보기 ...
농산물이력추적관리제도
■ 개요
○ "농산물이력추적관리"란?
농산물의 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농산물을 추적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농산물을 생산단계부터 판매단계까지 각 단계별로 정보를 기록·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법 제2조제1항제7호)
○
- EU : 이력추적관리의 개념은 국가별, 기관별로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더 보기 ...
더 보기 ...